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아는기자, 정치부 이현수 기자와 자세한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. <br> <br>Q. 오늘 일요일이잖아요. 휴일에 본회의를 열어 처리할 수 밖에 없었던 이유가 있나요? <br> <br>야당이 제출한 이상민 장관 해임건의안 처리 시한이 오늘 오후 2시였기 때문입니다. <br> <br>해임건의안은 국회 본회의에 보고된 후 24시간 이후 72시간 이내 처리되지 않으면 자동 폐기되거든요.<br> <br>공휴일에 열린 본회의라 회의 진행도 평소와 달랐습니다. <br> <br>[김진표 / 국회의장] <br>"공휴일 본회의 개의에 관한 건을 의결하도록 하겠습니다. 이의 없으십니까 (있어요!! 있어요!!) 조용히 해주세요." <br> <br>[주호영 / 국민의힘 원내대표] <br>"기억 정확한지 모르겠지만 일요일에 특별결의 안건 이런 결의 보지 못했습니다. 그만큼 비정상적이고 이상해." <br><br>지난 10년동안 공휴일에 열린 본회의를 찾아봤거든요. <br> <br>해임건의 같은 인사안을 표결하기 위해 열린 건 이번이 처음이었습니다. <br> <br>2016년 설연휴 마지막날 여야 합의로 대북 규탄결의안을 처리한 것 외에는, 통상 여야 협상이 길어지는 추경안이나 예산안 처리를 위해 열렸습니다.<br> <br>'이례적'이라는 말이 틀린건 아니었습니다.<br><br>Q. 국민의힘은 표결에 참여하지 않았지만 해임건의안 표결 결과를 보면 참석률도 찬성률도 압도적이던데요? <br> <br>민주당과 정의당, 무소속 등 야당 의원은 모두 184명인데요, 국민의힘 권은의 의원을 포함한 183명이 표결에 참여했습니다. <br> <br>무기명 투표로 진행됐고, 183명 중 무효표 1표 빼고 찬성이 182표 였습니다. <br> <br>민주당에 확인한 결과 169명 소속의원 전부가 참석했다고 합니다. <br> <br>3개월 전 박진 장관 해임결의안때보다 야당이 똘똘 뭉친 것으로 보입니다.<br> <br>Q. 최근 이재명 대표 사법리스크가 커지고, 당내 다른 목소리도 나온다고 들었는데요. 이례적인 휴일 본회의에 민주당이 똘똘 뭉친 이유는 뭔가요? <br> <br>민주당 지도부가 연일 문자메시지를 보내며 표 단속을 강하게 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> <br>주말 지역구 일정을 중단하고 꼭 참석해달라는 건데요.<br><br>[박홍근 /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] <br>"아마 어제 밤에 올라온 분들 계실거고 일찌감치 나와주신 의원님들께 감사. " <br><br>민주당 한 의원은 "전원이 참석했다기에 나도 놀랐다"면서 "단일대오가 무너지면 안된다는 공통 인식을 한 것 같다"고 했고, 다른 의원도 "여론 압박도 강한데 이례적으로 일요일에 열리니 더 빠질 수 없었을 것"이라고 전했습니다.<br> <br>지지층도 신경 썼을거고요, 향후 이태원 참사 국정조사와 예산안 협상에서 주도권을 잡겠다는 의도가 강해보입니다. <br> <br>Q. 대통령실과 이상민 장관은 조용하네요. 거부할 가능성이 크죠? <br> <br>그렇죠, 이태원 참사와 관련해 대통령실은 "진상규명이 우선"이란 입장을 밝혀온 만큼 윤 대통령이 해임건의를 받아들일 가능성은 낮습니다. <br> <br>공식 입장은 인사혁신처를 통해 해임건의를 정식으로 통지받은 뒤에 낼 것으로 보이는데요. <br> <br>대통령실은 국정조사도 합의했는데 주무장관 해임건의부터 하는 것에 다소 불쾌한 기색입니다. <br> <br>대통령실 관계자는 "112 신고내용 공개 등 진상규명이 최우선이라고 밝혀왔고 책임질 사람은 책임지게 할건데, 해임건의부터 하는건 유감스럽다"고 전했습니다.<br> <br>장제원 의원 등 친윤계에서는 "국조, 합의해줘선 안됐다"는 공개적인 불만도 나옵니다. <br> <br>Q. 해임 건의안 통과로 정국이 얼어붙었는데, 15일까지 예산 합의가 잘 될까요? <br> <br>오늘 해임건의안 단독 처리로 여야 협상을 하루 쉬었으니 이제 시한까지 사흘정도 남은건데요. <br> <br>앞서 보셨듯 법인세 인하 등을 놓고 팽팽하게 맞서고 있어 난항이 예상됩니다.<br><br>다만, 예산안 처리 법정시한도 넘겼고 정기국회 내 처리도 무산되면서 국회 선진화법 시행 이후 최대 지각 처리라는 불명예를 얻었거든요. <br> <br>국민 여론을 의식해서 여야가 극적 타결할 가능성도 남아 있습니다.